이번엔 블랙홀에 대해 알아볼께요
모두들 이름 정도는 들어봤을꺼라고 생각해요
워낙 유명하기에 게임 소재나 만화에서도 비슷한 형태로
자주 등장하기 때문에 매우 친근한 존재지요
사실 이렇게 블랙홀이 밝은 빛으로 관찰되긴 힘들어요
중력이 너무 강력하기때문에
빨려 들어가면 살아 나올수가 없는데
빛이라고 블랙홀을 탈출할수 있을까요?
사실 이렇게 구멍이 난것처럼 보이는게 맞겠지요
우주의 하수구정도로 생각하면되요
일상 생활에서의 하수구는 나올수 있지만
사건의 지평선 영역만 넘어가면
공간상에 존재하는 모든 물체는 빨려들어가고 말지요
그렇다면 블랙홀은 어떻게 관측하는걸까요?
블랙홀은 제트분출을 제외하고 자체적으로 내뿜는 빛이 없기때문에
일반적으론 관측되지 않아 하지만
주위 별을 빨아들일때 발생하는 열로인한 x선을 관측하면
블랙홀의 존재를 확인할수가 있지요
태양과 같은 항성이 빨려들어갈때 관측이 용이해요
블랙홀 주변에 빛이 파랗게 변한건 빨려가는 힘으로 인해 가열되어서 그런거 같아요.
항성조차도 빨아들이는 블랙홀
만약 이게 지구에 존재하게 된다면 어떻게 될까요?
물론 일반적인 크기의 블랙홀이라면 지구는 순식간에 사라져 버릴꺼에요
그렇다면 엄청나게 작은 블랙홀일 경우엔 어떨까요?
이론적으론 입자가속기를 통해 블랙홀의 생성이 가능하다고 알려졌어요
지구가 빨려들어 갈지 모른다는 말도 있었지만
인공적으로 만든 블랙홀의 경우 10^(-27)초만 존재할수 있게되서
실제론 지구에 아무 영향도 끼치지 않는다고해요
블랙홀의 생성원리
상당히 강한 중력을 가진 블랙홀
어떻게 생성되는 걸까요?
기본적으로 블랙홀은 별이 죽은 다음 생성되는데
우리 태양과 같은 질량이 작은 별은 죽어봤자 조그마한
백색왜성으로 변하고 사라지게되요
하지만 태양 질량의 약 30배 이상의 별은
강력한 초신성 폭발이후 중성자 별이나 블랙홀로 진화할수있어요
노란색인 태양정도의 별은 적색거성이후 그냥 대기가 산산히 흩어지게 되면서
가운데엔 응축핵인 백색왜성만 남게 되지 백색왜성은 겉보기엔 작지만
상당히 무거워요
반대로 태양질량의 약 30배 이상의 별들의 경우 초거성으로 진화한뒤 초신성 폭발을 하게되요
이 과정에서 질량이 조금 작은건 중성자별로 변하게 되고
질량이 큰건 블랙홀을 형성하게 되는거에요
블랙홀도 똥을싼다?
국내 연구진이 2013년 7월 20일에 세계 최초로 관측에 성공했어요
이런걸 제트분출이라고 해요
블랙홀에서 일어나는 빛에 속도에 가까운 에너지 방출현상입니다.
이현상으로 인해 급격히 밝어졌다 어두워졌다하는데
국내 연구진이 이 과정을 최초로 목격한거에요
블랙홀의 상상도들을 보면 주둥이와 후장에서 빛이 나가는것들이
대부분일텐데 그게 다 제트분출이에요
블랙홀의 활용가능성
현재의 과학 기술력으론 발견된것도 적어서
가능성은 헌저히 낮지만 앞으로 수십세기가 지난 이후엔 충분히
블랙홀을 활용할수 있다고 봐요
좋은의미론 시간여행의 용도로 사용될수도 있고
지속시간만 늘린다면 스타트랙에서처럼 무기로도 활용될수 있지 않을까합니다..
'☆우주에 신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주의 미래를 알아보자 (0) | 2016.04.13 |
---|---|
우주를 개척해보자.! (0) | 2016.04.12 |
하늘의 신인 우라노스의행성 천황성에대해 알아볼게요 (0) | 2016.04.12 |
지옥의 행성들을 알아볼게요 (0) | 2016.04.12 |
지구말고 생명이 살수있을만한 행성들을 찾아볼게요 (0) | 2016.04.12 |